수시·정시 통합·절대평가 도입... 5가지 대입 '면피시안'에 혼란

입력
기사원문
백주연 기자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현 中3이 치를 수능개편안 발표[서울경제] 현재 중3 학생이 치르게 될 2022학년도 대학입시 때는 11월 초 대학수학능력시험을 본 뒤 수시·정시 구분 없이 대학에 지원하는 방안이 유력해졌다.

김상곤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11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국가교육회의에 이송할 ‘대입제도 개편 시안’을 발표했다. 개편 시안은 사실상 지난해 발표하려다 연기했던 내용과 다를 게 없는 ‘재탕’ 수준이라는 평가를 받는다.

이번 시안의 핵심으로 꼽히는 사안은 문재인 정부가 공약으로 내걸었던 ‘수능 절대평가 전과목 도입’ 여부다. 교육부는 수능평가방법과 관련해 수능 전과목 절대평가 도입(1안), 상대평가 유지(2안), 수능 원점수제 도입(3안) 등 3개 안을 제시했다.

이와 함께 수시와 정시 전형의 모집시기를 통합하는 ‘대입 선발시기’ 관련 사항도 개편안에 포함됐다. 수시 전형을 구성하는 복잡한 대입제도를 단순화하고 수시 준비로 고3 2학기 학교 수업이 파행되는 문제에 대응하기 위한 방안이다. 수시와 정시가 통합될 경우 수능 이후 두 가지 전형이 동시에 진행될 것으로 예상된다. 교육부는 공정성 시비와 사교육비 부담이 꾸준히 제기되는 학생부종합전형의 적정 비율에 대한 ‘대입 선발 방법’에 대한 논의도 요청했다.

국가교육회의는 교육부의 시안을 받아 공론화 과정을 거친 뒤 최종 개편안을 마련할 예정이다. 교육부 시안은 전체적인 윤곽을 제시했지만 실제 적용되는 확정안은 아니다.
/백주연기자 nice89@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자 프로필

미국, 유럽, 아시아 등 국제사회 곳곳에서 발생하는 사안을 분석합니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사회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