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Y' 올 신입생 60% 학종 선발

입력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정시모집비율은 5.5%P 줄어…학생부교과전형 9.7%P 급감

[이석수 기자 sslee@msnet.co.kr] 최근 교육부의 정시모집 확대를 유도하는 움직임과 달리 서울대`고려대`연세대 등 최상위권 대학은 올해 진행될 2019학년도 입시에서 신입생 10명 가운데 6명을 학생부종합전형으로 뽑는다. 이들 대학의 학종전형 선발 비율은 4년 사이 20%포인트(p) 가까이 늘었는데 학종 공정성에 대한 학생`학부모의 불신이 깊어 2020학년도 대입부터 변화가 있을지 주목된다.

1일 교육부가 2015~2019학년도 서울대`연세대`고려대의 전형유형별 모집인원을 분석한 결과, 2015학년도 이들 학교의 학종전형 모집인원은 4천356명으로 전체 모집인원(1만1천191명)의 38.9%였다. 하지만 올해 치러지는 2019학년도 입시에서 세 대학은 전체 모집인원(1만1천133명) 가운데 60%에 가까운 6천455명(58.0%)을 학종전형으로 선발한다. 4년 사이 모집인원은 2천 명 이상, 모집인원 비율은 19.1%p 높아졌다. 이에 비해 같은 기간 수능전형(정시) 모집비율은 24.9%에서 19.4%로 5.5%p 줄었다. 학생부교과전형은 13.3%에서 3.6%로 9.7%p나 급감해 감소세가 더 뚜렷했다.

다른 수도권 대학들도 학종전형을 빠르게 확대하는 추세다. 교육부가 분석한 결과, 수도권 20개 대학 가운데 서강대`성균관대`동국대 등 8개 대학은 지난해 학종 모집비율이 전년 대비 10%p 이상 늘었다.

교육당국은 학생부에 대한 신뢰도가 낮은 상황에서 이처럼 학종전형이 빠르게 증가하는 것에 대해 적잖이 고민하고 있다. 학생부 중심 전형에 대한 공정성과 투명성을 높이는 것이 대학수학능력시험 전 영역 절대평가 전환, 논술 위주 전형 폐지 등 정부가 추진하는 다른 입시제도 개선책과 긴밀하게 맞물려 있기 때문이다.

교육부 관계자는 "학종전형 비율을 급격하게 높이는 것은 학생`학부모를 혼란스럽게 하고 입시 안정성과 공정성을 훼손할 우려가 있다"고 말했다.

결국 교육부가 2020학년부터는 주요 대학의 정시모집을 늘려 학종 비중을 낮추려는 의도를 보여주는 대목이다.



ⓒ매일신문 - www.imaeil.com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사회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