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대학입시 개편안, 무엇을 준비해야 하나

2018-04-26 10:58:57 게재

요즘 교육계의 화두는 오는 8월에 발표되는 2022년 입시개편안이다. 작년 8월에 발표하기로 예정되어 있었지만 우여곡절 끝에 1년 유예기간을 거쳐 올해 8월에 발표하기로 연기 되었다. 5월까지 국가교육회의는 대입제도 개편 국민제안 열린마당, 국가교육회의 홈페이지 온라인 의견수렴, 전문가 및 이해관계자 등 간담회, 공론화 범위 설정을 추진할 계획이다. 6월부터 7월까지는 공론화 의제 선정, 권역별 국민토론회, TV토론회 등 공론화 의제 국민 토론, 국민참여형 공론 절차 운영 및 결과 정리·제출, 대입제도 개편 권고안 마련 과정을 거친다. 국가교육회의는 이 같은 공론화 과정을 거친 대입제도 개편 권고안을 8월 초 발표할 예정이다. 근데 요즘 논란을 키우고 있는 것은 교육부의 태도 때문이다. 작년만 하더라도 수능에서 일부과목 절대평가 전환이냐 아니면 전 과목 절대평가 적용이냐는 비교적 단순한 이슈에서 올해는 입시전반에 걸친 모든 모형을 검토하고 결정하는 것으로 판이 커져버렸다. 거기다가 고교입시의 자사고, 일반고 일정동일화 정책과 겹쳐 일대 혼란이 일어나고 있는 현실이다. 그럼 지금부터 현재  거론되고 있는 대입모형을 분석을 해보고 과연 우리가 무엇을 준비해야 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첫째, 수시와 정시가 통합되는 케이스이다
이 안은 수시전형은 9월부터 12월까지 진행되고 정시는 1월부터 2월까지 진행되는 것을 수능시기를 11월 10일로 앞당기고 수시와 정시를 4개월에 걸쳐 진행하자는 것이다. 이 안이 그대로 실행되면 수능점수를 알고 나서 입시를 진행함으로써 수시납치와 같은 비극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예전의 수시 6회+정시 3회의 총 9회의 기회를 통합해서 6회로 제한함으로써 발생하는 기회의 상실은 막을 수가 없다. 그리고 학종의 경우에는 검토기간이 줄어듦으로써 정량평가화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그러나 이런 결점에도 불구하고 이 안이 채택될 가능성은 매우 높아 보인다. 지금의 수시/정시 분리체제로는 3학년 2학기 학교생활의 파행적인 흐름을 막을 수가 없다는 사실에 모두가 공감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우수 학생을 미리 선점하길 원하는 일부 대학은 9월부터 수시모집을 시작하는 현행 방식을 유지하자며 반대 의견을 내고 있기도 하다.

둘째, 수시/정시 통합을 전제로 하고 수능 전 과목을 절대평가하자는 안이다
문 대통령은 후보 시절 자신이 대통령이 된다면 2021학년도 수능을 전 과목 절대평가화 하겠다고 밝혔다.  지금은 영어와 한국사 과목만 절대평가를 하는데 이를 모든 과목으로 늘리겠다는 것이다. 수능 절대평가란 100점 만점을 기준으로 90점 이상은 1등급, 80점 이상은 2등급 등 10점 단위로 점수를 끊어 해당 구간에 포함되면 모든 학생에게 같은 등급을 부여하는 것이다. 그만큼 수능의 영향력이나 정시 전형에서의 변별력은 떨어지게 되지만, 고3 교실이 교육방송(EBS) 수능문제집 풀이 현장으로 전락하는 등의 교육 병폐는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 안이 시행되면 수능의 변별력이 약화됨으로써, 최상위권대학이나 의학계열의 경우 대학별 본고사가 진행될 소지가 있다는 점이 단점이다. 그래서 정부에서는 이 경우 국어, 수학 과목의 원점수를 제공하겠다는 의견을 제시하고 있지만 과연 2개 과목 원점수만으로 적격 학생을 선발할 수 있을지 의문이다. 그리고 1등급 획득을 위한 사교육이 더욱 더 활개를 칠 가능성이 높은 점이 우려스럽다. 필자가 보기에는 전 과목을 절대평가화 한다고 해서 학생들 간의 경쟁이 줄어들 가능성은 1%도 없어 보인다.

셋째, 수시/정시 통합을 전제로 하고 수능에서는 현행대로 상대평가를 하자는 안이다
이 안은 현행제도와 가장 근접하고 논란의 소지가 적을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이 안에 대한 지지가 많은 편이다. 그러나 만일 이 안대로 한다면 이 정도의 변혁을 가지고 그렇게 모두에게 혼란을 야기시켰냐 하는 비판을 정부에선 피할 수 없을 것이다.

넷째, 기타 의견들로는 한문/제2외국어만 절대평가하자는 의견이다
통합사회/통합과학 신설, 탐구영역 선택과목 2개—1개로 축소하자는 의견, 문/이과 구분을 철폐하고 단일형 수학+사탐 1과목+과탐 1과목으로 수능을 시행하자는 의견도 제시되어 있다.

필자가 보기에는 아마 세 번째 안의 형태로 채택될 가능성이 높아 보이나 최종 결과는 8월까지 기다려 봐야 할 것으로 보인다. 그 사이 우리나라에서 또 무슨 일이 벌어질지 누가 알겠는가? 필자가 우리나라 교육정책을 보고 느끼는 것은 정부는 우리나라 학생들은 교육정책의 실험대상으로, 학부모들은 선거때 1표 이상의 존재로는 보고 있지 않다는 것이다. 우리나라 교육정책에 대해서 일희일비하지 하지 말자. 대학은 우수한 학생을 원하며 그 기준은 어디까지나 학업에 대한 성취도에 있는 것이다. 그 평가방법만 수능, 학종, 내신으로 다른 것이다. 우리나라 대학의 이러한 학업능력위주 선발 방식은 일부 선진국(유럽일부 국가나 호주)처럼 대학의 서열을 없애진 않고선 절대 바뀌지 않을 것이다.


목동 씨앤씨학원
특목입시전략연구소 김진호 소장 

목동 씨앤씨학원 특목입시전략연구소 김진호 소장
내일신문 기자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