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3 대입개편]학생들은 '정시 확대' 우세…일반시민 선택은

입력
수정2018.08.02. 오후 3:33
기사원문
권형진 기자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대입개편공론화위, 학생 대상 권역별 토론회 결과
수능 평가방법은 '절대평가 확대' 의견이 더 많아
대입제도 개편을 위한 시민참여단이 지난 7월 27일 충남 천안시 계성원에서 대입제도 개편을 위한 2차 숙의 토론회에 참석하고 있다. /뉴스1 © News1 장수영 기자

(서울=뉴스1) 권형진 기자 = 현재 중학교 3학년이 치를 2022학년도 대입제도의 방향이 3일 공개된다. 국가교육회의 대입제도개편 공론화위원회(공론화위)는 이날 오전 11시 정부서울청사에서 일반시민 500여명으로 구성된 시민참여단의 공론화 결과를 발표한다.

시민참여단은 지난 27~29일 2차 숙의에서 대입 개편 시나리오 4가지를 놓고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시나리오별로 선호도 점수를 매기는 방식이다. 공론화위는 4가지 시나리오 가운데 가장 많은 지지를 받은 시나리오를 채택해 대입제도개편특별위원회(대입특위)에 넘길 예정이다. 대입제도 개편 권고안을 작성하는 국가교육회의 대입특위는 공론화위 결과를 따르겠다고 밝힌 바 있다.

핵심은 대학입시에서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중심의 정시모집 비중을 지금보다 확대할 것이냐, 수능 평가방식을 상대평가에서 절대평가로 바꿀 것이냐다.

이와 관련해 2일 공론화위가 홈페지이에 공개한 '미래세대 토론회 결과 보고'에 따르면 중·고등학생들은 '정시모집 확대', '수능 절대평가'에 대한 요구가 많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공론화위는 시민참여단에서 제외된 학생들의 의견을 듣기 위해 지난 6월 4개 권역별로 미래세대 토론회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홈페이지에 공개했다. 토론회에는 중·고등학생 235명과 대학생 31명 등 총 266명이 참석했다. 총 34개 분임조로 나눠 대입제도 개편에 대한 토론을 벌였다.

16개 조가 정시모집 비중을 확대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 가운데 11개조는 명확하게 정시 비중 확대를 요구했다. 4개 조는 수시와 정시 비율 혹은 수능 전형과 학생부종합전형, 학생부교과전형 간 비율에 균형을 맞추자고 제안했다.

균형을 맞추자는 이야기는 사실상 지금보다 정시모집 비율을 확대하자는 뜻이다. 2019학년도 대입에서 정시모집 비중은 23.8%, 수능전형 비중은 20.7%다. 호남·제주권과 충청권은 8개 분임조 가운데 5개 조가 정시 확대 의견을 밝혔다.

정시모집 확대에 반대 의견을 밝힌 분임조는 6개에 그쳤다. 5개 분임조가 수시모집 비율 확대를 요구했고, 1개조는 정시모집 확대에 반대한다며 현행 비율을 유지하자는 의견을 제시했다.

수시·정시 비율 확대 의견을 분명하게 밝힌 22개 분임조 중에서는 정시 확대 의견이 수시 확대 의견의 2.7배였다. 나머지 12개 분임조는 수시·정시모집 확대 의견이 팽팽하거나 학생부종합전형의 공정성과 투명성 등 현행 제도에서 드러난 문제점 개선을 요구했다.

반면 수능 평가방법은 '절대평가'를 지지하는 학생들이 더 많았다. 14개 분임조가 수능 전과목 절대평가 전환이나 절대평가 확대 의견을 밝혔다. 특히 수도권은 10개 분임조 가운데 6개 조가 수능에서 절대평가를 확대해야 한다고 요구해 눈길을 끌었다. 상대평가를 유지해야 한다고 밝힌 분임조는 총 8개조였다.

대입제도 개편 공론화 결과 발표에서는 입시에 직접 영향을 받는 학생들 의견이 시민참여단의 숙의 결과에 어떤 영향을 미쳤을지도 관심사다. 미래세대 토론회 동영상과 결과 보고는 시민참여단에게도 참고자료로 제공했다. 선입견을 갖거나 편향성 문제 등의 지적이 있어 필수 학습자료에는 포함하지 않았다고 공론화위는 밝혔다. 공론화위 관계자는 "현재 시민참여단의 설문조사 결과를 취합해 분석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고 전했다.

jinny@news1.kr

▶ [뉴스1] 채널설정하기 ▶ 제보하기

▶ [페이스북] 바로가기!

[© 뉴스1코리아(news1.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자 프로필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사회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