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기출문제사전 > 기출 해설사전
기출 해설사전

2018년도 9월 평가원 나형 21번 [대홍쌤]

(입력이 어려운 기호는 대략 비슷한걸로 썼습니다. 합성함수 기호를 .으로 표현한다든지..)


두 함수 f와 g가 주어져 있네요. 두 함수는 각각 -1과 1을 경계로 각기 다른 식으로 표현되어 있습니다. f는 미정계수를 포함하고 있어 미완성된 식, g는 절댓값이 포함되어 있지만 범위를 나누어 정리할 수 있는 식입니다. 또한 친절하게도 g의 그래프가 문제에 주어져 있군요.


계속 문제를 읽어 봅시다. "합성함수 g.f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정의된 역함수를 갖는다."라고 합니다. 무슨 뜻일까요? 세부적으로 나누어 이해해봅시다.


"역함수를 갖는다"와 같은 말은 바로, "일대일대응이다"이죠. 매우 중요합니다.


※ 일대일대응 : 아래의 ,를 동시에 만족하는 함수

① 정의역의 임의의 원소 a, b에 대하여 a와 b가 같지 않으면 f(a)와 f(b)도 같지 않다.

② 치역과 공역이 같다.


특히, 일대일대응은 이산적인 함수(보통 정의역, 공역의 원소를 쓰고 화살표로 이어서 표현하는 경우)를 제외하면 반드시 증가함수 또는 감소함수입니다. 이 이야기는 미분 문제에서 자주 등장하는 소재이니 꼭 기억해두도록 합시다.


역함수를 갖는다는 말과 함께 있는 내용을 또 하나 찾아보면, g.f의 역함수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정의된다"입니다. 함수가 ~에서 정의된다는 말은 정의역을 설명하고 있는 말로, 역함수의 정의역은 본 함수의 치역과 같으므로 "g.f의 함숫값의 모임은 실수전체의 집합이다"라는 뜻이 됩니다.


결국 둘을 종합보면 "합성함수 g.f는 증가 or 감소함수이며, 치역을 실수 전체 집합으로 갖는 함수이다."라고 볼 수 있겠네요. 덧붙여 위의 두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이러한 함수는 자동으로 "모든 실수에서 연속이다"라는 속성을 가진다는 것도 중요포인트!

자, 이제 본격적으로 문제를 풀기위해 함수를 합성해 보겠습니다. 
합성함수의 뜻에 맞게 함수 g의 x 대신에 f(x)를 대입하면,

요렇게 되겠죠? 위의 범위에 따른 세 부분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은 형태로 나타납니다.

g(x+a) : g(x)를 x축 방향으로 -a 만큼 평행이동한 그래프
g(bx) : g(x)를 1/|b|배 만큼 가로 방향으로 늘이거나 줄인 그래프 (b<0이면 좌우반전)
g(x+c) : g(x)를 x축 방향으로 -c 만큼 평행이동한 그래프

이 셋을 범위에 따라 나타낸 그래프가 "
연속이면서 감소 또는 증가하는 함수"여야 하는 것이죠.
그런데 g(x+a)는 g(x) 그래프를 좌우로 움직인것에 불과하고 대신 x의 범위만 -1보다 작다는 것이기 때문에 x가 한없이 작아지면 a에 관계없이 g(x+a)는 양의 무한대로 발산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g(x+c)도 1이상의 x에 대해서 나타내면, x가 한없이 커지면 g(x+c)는 c의 값에 관계없이 음의 무한대로 발산합니다.

즉, g.f를 증가 또는 감소 중에 하나로 선택해야 한다면 반드시
감소함수로 선택해야 한다는 뜻이 됩니다. 따라서 -1 미만인 구간에서의 g.f는 감소구간만을 갖도록 하기 위하여 g(x) = -x-2만을 취하고, x축 방향으로 0 이상 이동해야 합니다. 또한, 1 이상인 구간에서의 g.f도 감소구간만을 갖도록 하기 위하여 g(x)=-x+2만을 취한 후, x축 방향으로 0 이하로 이동해야 합니다. 

여기까지의 결론을 종합하면,


한편, 가운데 식인 g(bx)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g(bx)는 위에서 말한 것 처럼 g(x)를 1/|b|배 만큼 가로 방향으로 늘이거나 줄인 그래프인데요, 이해를 돕기 위해 b 값에 따른 그래프를 나타내면 다음과 같습니다.

|b|>1일 때에는 가로가 좁아지기 때문에 첫번째 그림처럼 -1이상 1미만인 구간에 증가, 감소가 섞이게 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반대로 |b|<1일 때에는 b>0일 때는 증가함수, b<0일때는 감소함수만 나타나게 되죠.
앞서서 -1 미만, 1 이상에 해당되는 다른 두 식이 감소함수라는 결론이 나왔으므로, b의 값은 g(bx)를 감소함수로만 나타나게 할 수 있는 -1<b<0에 해당됨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g.f의 역함수가 존재할 가능성이 있는 유일한 경우는 g.f가 다음과 같이 정의될 때 입니다.

여기에 이 함수는 연속이어야 하므로
x=-1에서 연속할 조건 -a-1=-b, x=1에서 연속할 조건 b=-c+1에 의해,

a+b+2c = (b-1)+b+2(-b+1)=1 입니다.

(a, b, c의 범위까지 구해두었으나, 답을 얻는데 사용되지는 않았네요)


수학의 정도(正道) - 대홍쌤 블로그에서 허락을 받아 올리는 해설입니다.

0 Comments     0.0 / 0
Category
글이 없습니다.
글이 없습니다.
State
  • 현재 접속자 2 명
  • 오늘 방문자 4,289 명
  • 어제 방문자 13,054 명
  • 최대 방문자 17,572 명
  • 전체 방문자 3,464,968 명
  • 전체 회원수 5,674 명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