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입개편 ‘공론조사’ 발표>“정시 20% 이상” 82%… “절대평가 과목확대” 53%

입력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4개 의제外 별도 조사 결과

대통령 직속 국가교육회의 산하 대입제도개편 공론화위원회는 이날 정시·수시 비중에 대한 4개 의제별 공론조사 결과 외에 △일반 대학의 수능위주 전형 적정 비율 △학생부 종합전형의 적정 비율 △중장기적 수능의 적절한 평가 방법 △입시제도 방향성에 따른 결정요인 등에 대한 결과도 발표했다.

수능위주전형비율(정시)의 적정한 비율을 묻는 문항에 “20% 이상이 돼야 한다”고 응답한 사람은 82.7%에 달했다. 현행 일반대학의 수능위주전형의 비율이 2019학년도 20.7%, 2020학년도 19.9%인 상황에서 시민참여단이 정시 확대 필요성에 대해 공감한 것으로 보인다. 일반대학의 학생부종합전형(학종)의 적정 비율을 묻는 질문에는 현행보다 ‘확대해야 한다’는 의견과 ‘축소해야 한다’는 의견이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현행 2019학년도 학종의 비율은 37.0%, 2020학년도 36.7%로 학종의 적정 비율을 ‘30% 미만으로 해야 한다’는 의견이 36.0%, ‘40% 이상으로 해야 한다’는 의견이 35.3%로 조사됐다.

수능 평가방법에 대한 조사 결과, 중장기적 관점에선 ‘절대평가 과목을 확대해야 한다’는 의견이 우세했다. 현행 한국사·영어 과목 외에 ‘절대평가 과목을 확대해야 한다’는 의견은 53.7%로 ‘현행대로 유지해야 한다’는 의견 11.5%와 ‘상대평가 과목 확대가 적절하다’는 의견 34.8%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입시제도의 방향성에 대한 조사에선 공정한 투명한 입시제도를 마련하되 고교 교육 정상화에 기여할 방안이 필요하다는 응답이 많았다. 공정하고 투명한 입시제도가 중요하다는 의견은 95.2%로 거의 모든 시민 참여단의 높은 지지를 받았으며, 뒤이어 학교교육 정상화에 기여하는 입시제도가 중요하다는 의견은 92.8%로 조사됐다. 이 밖에도 시민참여단은 다양한 적성 개발에 부합하는 입시제도, 대학의 특성을 반영하는 입시제도, 교육기회의 형평성을 제고하는 입시제도에 대해서도 높은 공감대를 형성했다.

김영란 공론화위원장은 “시민참여단이 학종과 수능위주전형에 대한 단점 보완이 제대로 이뤄지지 못하고 있다는 점을 지적했다”며 “정책 당국과 교육전문가들이 단점 보완을 분명하게 요구한 결과”라고 밝혔다. 의제별 지지도에 대한 조사와 함께 이번 공론화 결과는 국가교육회의에 제출된다. 대입제도개편 특별위원회는 이를 토대로 대입제도 개편 권고안을 마련한다.

김기윤 기자 cesc30@munhwa.com

[ 문화닷컴 바로가기 | 문화일보가 직접 편집한 뉴스 채널 | 모바일 웹 ]



[Copyrightⓒmunhwa.com '대한민국 오후를 여는 유일석간 문화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구독신청:02)3701-5555)]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사회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