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학년도 연기전공 입학전형 및 대비방법

2018-03-15 16:26:25 게재

경쟁 치열한 연기전공, 대학별 실기 유형 파악해야

수시는 균형 지원 중요, 수능 경쟁력 확보해 정시도 노려볼 만

꿈과 끼를 마음껏 발산할 수 있는 적성에 맞는 진로 찾기가 강조되면서 연극, 영화, 연기 등에 관심과 소질이 있는 학생들의 연기 관련 학과 지망이 늘어나고 있다. 2018학년도 입시에서 연기 관련 학과 경쟁률은 가장 높은 수준이었다. 경쟁이 치열한 만큼 차별화된 입시전략이 필요한 분야이기도 하다. 주요 대학의 연기 관련 학과 전형방법을 살펴보고 예술대학 연기전공 입시 전문가를 만나 대비방법에 대한 조언을 들어봤다.  
도움말 액터스웨이브 이민우 대표
참고자료 각 대학 2019학년도 입학전형 시행계획, 입학처 홈페이지 경쟁률 공지자료

연기전공 관련 대학 전국 4년제 54개교, 2~3년제 29개교
서울·인천·경기권 4년제 27개교, 2~3년제 16개교

연극, 영화, 방송, 뮤지컬 등 예술대학 연기전공 관련 대학은 전국에 4년제 대학이 54개교, 2~3년제 대학이 29개교가 있다. 서울 및 수도권의 대학만 살펴보더라도 4년제 대학이 27개교, 2~3년제 대학이 16개교가 있다.
서울지역에서 연기전공 관련 학과가 있는 대표적인 4년제 대학은 국립특수대학인 한국예술종합학교(이하 ‘한예종’)를 비롯해 건국대, 경기대, 국민대, 동국대, 동덕여대, 서경대, 성균관대, 성신여대, 세종대, 숭실대, 중앙대, 한양대 등이다.

대학별 연기전공 관련 학과 경쟁률 최고 수준
주요 대학 연기전공 관련 학과의 2018학년도 지원경쟁률을 살펴보면 다른 모집단위와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최고 수준을 기록하고 있다. 그만큼 수험생들의 관심이 많음을 방증한다. 서울 및 수도권 주요 대학 중 가장 높은 경쟁률을 보인 세종대 영화예술학과(연기예술)는 수시는 무려 195.6:1을 기록했고 정시도 68.64:1의 높은 경쟁률이었다. 경희대, 국민대, 서울예대, 중앙대 등도 수시 경쟁률 100:1이 넘는 수준으로 경쟁이 치열했다.
2019학년도 주요 대학의 연기전공 관련 모집인원은 국민대, 동국대, 서울예대, 중앙대, 한예종 등이 많은 편이며, 한양대는 수시보다 정시 인원이 많다.

<2018학년도 주요 대학 연기전공 경쟁률>


대학 모집단위 경쟁률
수시 정시
건국대 예술디자인대학 영화·애니메이션학과-연기 73.47:1 -
경희대 예술디자인대학 연극영화학과-연극·뮤지컬 연기 131.53:1 -
국민대 예술대학 공연예술학부 연극전공-연기실기우수자 110.74:1 -
예술대학 공연예술학부 영화전공-영화실기우수자 30.84:1 -
동국대 예술대학 연극학부 89.93:1 36.75:1
예술대학 영화영상학과 64.40:1 5.22:1
서울예대 공연학부 연기 128.0:1 -
성균관대 연기예술 연기 91.05:1 -
세종대 영화예술학과 연기예술 195.6:1 68.64:1
중앙대 공연영상창작학부 연극(연기) 114.86:1 -
한양대 연극영화학과-연기 10.0:1 26.88:1
* 수시 경쟁률은 실기우수자전형 기준, 경기대와 한예종은 경쟁률 자료 미공개

<2019학년도 연기전공 주요 대학 모집인원>
대학 모집단위 모집인원()
수시 정시 전체
건국대 예술디자인대학 영화·애니메이션학과-연기 15 0 15
경기대 연기학과 13 13 26
경희대 예술디자인대학 연극영화학과-연극/뮤지컬 /연기 15 0 15
국민대 예술대학 공연예술학부 연극전공/영화전공 41 0 41
동국대 예술대학 연극학부 연극/뮤지컬/연기 30 12 42
예술대학 영화영상학과 27 13 40
서울예대 공연학부 연극/무용/연기 83 43 126
성균관대 연기예술 연기 21 0 21
세종대 영화예술학과 연기예술 12 11 23
중앙대 공연영상창작학부 연기/뮤지컬 40 0 40
한예종 연극원 연기과 37 0 37
한양대 연극영화학과-연기 4 14 18
 


수시-실기 준비 부담 큰 수시,
상향·적정·하향의 균형 있는 지원 필요 

연기전공 관련 학과의 수시모집은 실기우수자전형이 가장 많다. 대부분의 대학들이 단계별 전형을 실시하며 1단계에서 학생부 100%나 서류 100%, 또는 실기 100% 등으로 적게는 3배수에서 많게는 25배수를 선발해 2단계에서 실기, 학생부, 면접 등으로 최종 선발한다. 수시 실기우수자전형이나 특기자전형에서 수능 최저학력기준은 적용하지 않는다.
단, 한양대의 경우 연기 특기자전형에서 서류 100%로 4명을 선발하며 실기를 폐지했다. 서류는 학생부와 연기 실적 관련 증빙서류(출연 실적 증빙 자료, 포트폴리오 등)를 제출해야 한다. 
경쟁이 치열한 예술대학 연기전공의 수시 준비는 어떻게 하면 좋을까?
‘액터스웨이브’ 이민우 대표는 “수시 6개 대학을 모두 지원하는 경우 실기 준비 부담이 커서 수험생은 극도로 피곤해지고 모두 떨어질 경우 이어지는 정시를 제대로 준비하지 못하게 된다. 수시 6회를 모두 지원하려면 상향·적정·하향의 균형을 맞추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

<2019학년도 주요 대학 연기전공 수시 전형방법>
대학 전형명 전형방법
건국대 실기 KU예체능우수자 1단계: 학생부(교과) 100%25배수 선발
2단계: 실기 100%
경기대 KGU학생부종합 1단계: 서류평가 100%3배수 이내 선발
2단계: 1단계 성적 60% + 면접40%
실기 예능우수자 1단계: 실기 100%10배수 선발
2단계: 실기 70%+학생부(교과) 30%
경희대 실기우수자 1단계: 기초실기 100%7배수 내외 선발
2단계: 종합실기 70%+학생부 30%
국민대 특기자 1단계: 서류 100%6배수 선발
2단계: 1단계 성적 50%+면접 50%
연기 실기우수자 1단계: 실기 100%8배수 선발
2단계: 실기 60%+학생부(교과) 40%
영화 실기우수자 1단계: 실기 70%+학생부(교과) 30%3배수 선발
2단계: 1단계 성적 70%+면접 30%
동국대 실기 연극 1단계: 기초실기 100%10배수 선발
2단계: 학생부 40%+종합실기 60%
실기 영화영상 1단계 학생부 40%+실기 60%3배수 선발
2단계: 1단계 성적 70%+면접 30%
서울예대 일반전형 실기 실기 80%+학생부 20%
성균관대 특기/실기우수자 1단계: 면접/실기 100%5배수 내외 선발
2단계: 서류 40%+면접/실기 60%
세종대 실기우수자 1단계: 실기 100%10배수 선발
2단계: 학생부(교과) 20%+실기 70%
예체능특기자 입상실적 40%+학생부(교과) 20%+면접 20%
중앙대 실기전형(실기형) 1단계: 실기 100%7배수 선발
2단계: 학생부 20%+실기 80%
실기전형(특기형) 수상실적 80%+적성실기 20%
한예종 실기전형 1차: 실기 60%+학생부(교과) 40%
2차: 실기 80%+글쓰기/구술 20%
한양대 특기자 서류 100
 


정시-수능 성적 경쟁력 있는 경우 수시보다 정시 고려
연기전공 관련학과 정시모집의 전형요소를 살펴보면 대체로 수능, 실기고사, 학생부 위주로 되어 있다. 수시에서는 수능 성적이 반영되지 않는 반면, 정시에서는 수능 성적이 반영된다. 특히 한양대 연극영화학과(연기)는 수시보다 정시 선발인원이 많으므로 정시 전형방법을 꼼꼼히 살펴볼 필요가 있다. 2019학년도 한양대의 전형방법은 변화가 크다. 1단계에서 수능 100%로 20배수의 인원을 선발하는데, 이때 수능은 국어(80%)와 영어(20%) 영역만 반영하며 사회탐구 반영은 폐지했다. 한국사는 필수 응시영역이며 예체능계열은 8등급까지 만점으로 처리한다.
이민우 대표는 “수능에서 상대적으로 경쟁력이 있다고 생각되면 정시를 고려해볼만 하다. 국어와 영어를 기본적으로 반영하고 대학별로 탐구영역을 1~2과목 반영하므로 대학별 반영방법을 살펴 준비하면 된다. 반영하는 영역은 3등급 이내는 되어야 경쟁력이 있다. 4~5등급의 경우 실기로 극복해야하는데, 사실 실기로 수능의 열세를 극복할 수준이라면 수시를 전략적으로 지원하는 것이 좋다”고 설명했다.

<2019학년도 주요 대학 연기전공 정시 전형방법>
대학 전형명 전형방법
경기대 일반(나군) 실기 60%+수능 20%+학생부(교과) 20%
동국대 일반(가군) 연극학부 수능 63%+실기25%+학생부 12%
일반(가군) 영화영상학과 수능 96%+학생부 4%
서울예대 일반(연극/무용/연기/영화) 실기 60%+학생부 40%
일반(연극/영화) 실기 40%+학생부 30%+수능 30%
세종대 일반(나군) 학생부(교과) 10%+수능 30%+실기 60%
한양대 일반(가군) 1단계: 수능 100%20배수 선발
2단계: 실기 100%
 


대학별로 실시고사 유형 다양, 잘할 수 있는 유형 고려해야
‘액터스웨이브’의 분석에 따르면 그동안 연기 관련 학과들의 입학전형에서 실시된 실기고사 유형은 자유연기, 지정작 자유연기, 지정연기, 지정작 지정연기, 즉흥연기, 특기, 가창/움직임, 워크숍, 글쓰기, 면접토론 등으로 크게 10가지로 나뉜다. 이민우 대표는 “모든 대학의 실기시험이 이 10가지 유형에서 벗어나지 않으므로 대학별 유형을 살펴보고 그 대학의 유형을 잘 치러낼 수 있는지 신중하게 생각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대학별로 살펴보면(표 참고) 건국대의 경우 자유연기만으로 연습시간 30분과 연기 3분 이내로 실시되는 반면, 한국예술종합학교의 경우 실기고사 유형이 7가지나 되며 1차 합격자는 자기소개서도 제출해야 한다. 서울예대의 워크숍은 즉흥, 화술, 움직임, 면접 등이 포함된다. 한양대의 그룹토론은 시험당일 고사장에서 제시되는 주제에 관한 토론으로 진행됐으며, 2019학년도 입시에서는 실기시험 예약제도 시행할 예정이다.

<주요 대학 연기 관련 학과 실기고사 유형 분석>
대학 자유연기 지정작
자유연기
지정연기 지정작
지정연기
즉흥연기 특기 가창
움직임
워크숍 글쓰기 면접토론
건국대                  
경기대                
경희대              
국민대            
동국대          
서울예대            
성균관대          
세종대            
중앙대              
한예종      
한양대            
* 자료제공: 액터스웨이브


연기전공 실기고사 유형 분석 및 대비방법

# 자유연기(종합연기): 자유연기는 수험생이 희곡이나 시나리오 중에서 자유롭게 장면을 선택해 2분 내외로 장면을 발표하는 것으로 대다수 대학의 실기평가에서 시행되는 유형이다. 대학이나 학과, 개인의 특성을 반영해 작품과 장면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작품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분석을 바탕으로 완성도 높은 장면을 만들어야 한다. 자신이 발표하는 장면만 반복 연습하는 것은 잘못된 방법이다. 자유연기를 통해 수험생의 연기적 역량 외에도 시험 준비에 대한 성실성과 의지도 파악할 수 있다.

# 지정작 자유연기: 대학에서 지정한 작품 중에서 장면을 선택해서 준비한 후 발표하는 것으로 수험생들이 동일 작품 내에서 장면을 선택하므로 중복될 확률이 높다. 그러므로 충분한 시간을 갖고 보다 섬세한 분석과 준비를 통해 완성도와 독창성을 높여야 한다.

# 지정연기: 시험장에서 당일 제시되는 텍스트를 20~30분 준비 후에 발표하는 것으로 자유연기만큼 다수의 대학에서 시행하는 유형이다. 정확한 발음과 적절한 성량으로 대사가 아닌 살아있는 말로 텍스트의 의미를 정확히 표현하는 것이 중요하므로 텍스트 분석력, 정확한 표현력, 호흡과 발성, 신체표현력 등을 개발해야 한다. 기출대사나 다양한 텍스트를 많이 연습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 지정작 지정연기: 대학에서 공지한 지정 작품 내에서 당일 지정 대사가 출제되는 유형이다. 시험범위가 제시되는 것이므로 다른 수험생과 차별화를 위해서는 사전에 작품 분석을 충분히 하고 예상 대사를 뽑아 연습해야 한다.

# 즉흥연기: 당일 고사장에서 상황이 제시되며 30분 내외의 준비할 시간이 주어진다. 즉흥연기를 위해서는 상상력과 집중력, 신체표현력 등이 요구된다. 단순히 상황을 설명하려고 해서는 안 되며, 주어진 상황의 독특한 분위기와 목적, 사건과 갈등을 정확히 인식하고 자신의 목적을 이루기 위해서 진실한 의지를 갖고 말과 행동을 할 수 있어야 한다.

* 특기: 연기와 관련이 있는 무용, 가창, 악기연주, 무술, 마임 등이 포함된다. 특기는 실기 시험의 주된 요소는 아니다. 따라서 주된 요소를 소홀히 하고 특기 준비에 많은 시간을 쓰는 것은 좋지 않다.

* 가창/움직임: 한예종과 한양대에서 실시하는 유형으로, 한예종은 가창과 움직임 중 선택할 수 있으므로 더 잘할 수 있는 것을 선택해 집중적으로 준비하는 것이 좋다. 한양대는 가창과 움직임이 필수이며 가창의 경우 연기력을 보여줄 수 있는 노래를 선택하는 것이 좋다.

* 워크숍: 한예종의 워크숍은 연기 워크숍과 움직임 워크숍으로 나누어 진행되며, 연기적, 신체적 역량을 평가한다. 서울예대의 워크숍은 화술과 즉흥, 움직임을 조별로 나누어 과제를 주고 개별 평가하고 면접도 함께 진행한다.

* 글쓰기: 한예종에서 실시하는 유형으로 시험 당일 제시하는 주제에 대해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글로 표현해야 한다. 창의력, 사고력, 어휘력, 논리력 등을 평가한다. 짧은 글이라도 평소에 자주 쓰는 습관을 갖는 것이 도움이 된다.

* 면접/토론: 주로 가치관, 지원동기, 진학 후 계획, 기초 지식 및 예술적 소양 등에 대한 질문이 많으므로 이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정리하고 답할 수 있도록 준비한다. 지정작품이 있는 대학의 경우 지정작품을 중심으로 심층면접이 이루어지기도 한다. 토론은 한양대에서 시행하며 시험 당일 제시하는 주제에 대해 그룹 토론을 진행하므로 평소 의사소통능력을 키우고 자신의 주장을 설득력 있게 논리적으로 표현하는 힘을 키워야 한다.
이선이 리포터 2hyeono@naver.com
내일신문 기자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