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 교육일반

2020 대입 정시 확대, 2022개편안 반영 되나...'입시혼란 가중'

연지안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8.04.02 16:08

수정 2018.04.02 16:08

2022학년도 대입수능개편안 발표를 앞두고 2020학년도 대입에서 정시전형이 확대된다. 현재 국가교육회의에서 논의중인 2022학년도 대입개편안에도 수시를 줄이고 정시를 늘리는 방안이 반영될 것으로 전망되면서 입시 현장의 혼란이 야기되고 있다.

2일 교육계에 따르면 학생부종합전형(학종전형)을 중심으로 한 수시모집 비율이 높았던 서울지역 주요대학들이 2020학년도에는 정시모집을 늘리는 쪽으로 가닥을 잡았다.

이진석 교육부 고등교육정책실장은 이날 정부세종청사에서 "작년부터 대입정책포럼 등을 통해 수시가 지나치게 확대되면서 학생, 학부모들 사이에서 학생부전형에 대한 공정성 문제가 제기됐다"며 "정시가 공정하다는 요구가 있어, 국가교육회의에서 2022학년도 수능개편안을 이송해 발표하기에 앞서 단기적으로 개선해야할 입시방안으로 2020학년도 수능부터 수시 규모가 크거나 정시비중이 적은 대학을 중심으로 개선의 뜻을 전달했다"고 밝혔다.

국가교육회의 논의 전 현 입시문제를 진단하고 개선안도 포함해야한다는 취지로 이후 개편안이 연착륙하기 위한 조치라는 점에서 2022학년도에서도 정시 확대 기조가 이어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실제 교육부는 지난달 경희대, 이화여대, 중앙대와 고려대, 서울대 등과 정시 확대 여부를 논의했다.
2020년 대입이 고등교육법상 이달 말까지 확정해야하는 것을 감안해 정시 확대에 대한 필요성을 제안했다는 설명이다. 단 정시 확대는 5% 안팎의 적은 비중에서 조정되며 각 대학 자율에 따라 결정된다. 대교협에 따르면 전국 4년제 대학은 2016학년도에 전체 모집인원의 67%가량을 수시모집으로 뽑았지만 2019학년도에는 76%를 수시로 선발한다. 이에 따라 정시모집 비율은 20%대 초반까지 줄었다.

이와 함께 수시 합격 중 수능 최저 학력 기준에 학생들의 부담이 있는 것과 관련 대입 단순화 측면에서 수능최저학력기준을 줄이는 방안도 추진한다. 수시전형 시 최저학력기준이 적용되면서 학생부와 수능 부담이 2중으로 생기는 부작용을 축소해 수시는 수시답게, 정시는 정시답게 실시한다는 내부논의가 진행중이었고 최저학력제는 지속적으로 축소돼왔다는 설명이다.

이를 반영해 각 대학들도 입시전형을 계획하고 있다. 교육계에 따르면 현재 연세대는 2020학년도 입시에서 수시모집의 수능 최저학력기준을 완전 폐지하고 정시모집 인원을 확대할 예정이고, 동국대의 경우 정시모집 전형 비율을 늘리고 수능 최저학력 기준은 완화한다. 성균관대는 정시모집은 늘리되 최저학력 기준은 일단 유지하며 고려대는 이달 중순 경 입장을 결정할 방침이다.

그러나 오는 8월 대입개편안 발표를 앞두고 갑작스러운 대입 정책 발표라는 점에서 논란이 나오고 있다. 불공정 논란이 불거졌던 수시전형과 학생들의 부담을 야기했던 수능최저학력 기준 정책에 대한 논란이 지속돼왔음에도 불구하고 8월 국가교육회의의 개편안 발표를 4개월 앞둔 시점에서 단기적인 개선안으로 제기되면서 혼란이 불가피하다는 것이다.
특히 교육부가 대학들에 사실상 정책 지시를 해 대학 자율성 침해 논란도 나오고 있다.

jiany@fnnews.com 연지안 기자

fnSurvey